본문 바로가기

하이푸 : 자궁근종·자궁선근증

하이푸 - 누워서 하는 하이푸 VS 엎드려서 하는 하이푸

자궁근종, 하이푸 검색하면 너무나 광고성 글들에 저 마저도 놀라고는 합니다.

 

저희도 광고를 하긴 하는데 (안 할 수는 없어서ㅎㅎ)

아무래도 그렇게는 정확한 정보를 전하기가 저도 힘들고,

환자분들은 워낙 많은 홍보성 글들로 인해 제대로 된 정보를 찾기가 더욱 힘드실껍니다

그래서  양질의 정확한 정보가 절실한 분들께 중요한 것들을 설명해드리려 합니다
하이푸 종류도 많고 취급하는 의료기관도 많습니다 

이름도 다양하고 수식어도 많은 하이푸 중 오늘 설명드리려는 것은 

누워서 하는 하이푸 vs 엎드려서 하는 하이푸 입니다. 

일단 결론 : 엎드려서 받으셔야 합니다.

제가 직접 포토샾 편집까지 한 자궁 해부학 사진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렵고 복잡하지만 눈 크게 뜨고 보셔야 합니다.. (불펌 금지!)

 

 

먼저 이건 우리 몸의 골반뼈와 그 위를 지나고 있는 신경다발들, 척추에서부터 뻗어나오는 모양 보이시죠? 

그러나 신경다발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암튼 저 골반뼈 안에 이제 자궁 난소 및 장기들이 위치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 보실게요.


 

<> <엉덩이> 먼저 찾아보세요. 찾으셨나요

우리몸을 배꼽에서 꼬리뼈까지 반쪽으로 가른 단면입니다

우리의 배 안에 방광과 자궁은 제일 앞에 위치합니다

, 이제 자궁 모양 한 번 보세요. 꼿꼿이 서 있나요? 아니요. 허리 숙여 인사하고 있어요. 앞으로 기울어 있습니다. 그 뒤로 콩팥에서 내려오는 요관, 그 뒤로 항문까지 연결되는 직장, 그리고 엄청나게 복잡한 신경다발들. 보이시나요?

 

(복부신경총, 골반신경총, 음부신경총만 적었어요) 그 뒤로 척추뼈가 있습니다.

 

이제 사진을 좀 돌려볼게요. 환자를 눕히겠습니다.


 

, 등을 바닥에 대고 누웠습니다. 그림 왼쪽이 머리, 오른쪽이 다리입니다. 지구상의 모든 물체에는 중력이 작용합니다. 내장기관도 마찬가지에요. 서 있을 땐 앞으로 허리숙여 인사하던 자궁이 --> 허리를 펴고 뒤로 누워요. 자궁은 복강 안에 딱 붙어 있지 않고 이리저리 움직일 수 있거든요. 그럼.. 결국 저 신경다발들 위로. 눕는 거죠. 뒤로 누운 자궁 밑으로 요천추신경총이 깔립니다.

 

허리엉치신경얼기(요천추신경총)

 

1. 엉덩샅굴신경(iliohypogastricnerve) 2. 엉덩아랫배신경(ilioinguinalnerve) 3. 외측넙다리피부신경(lateralfemoralcutaneousnerve) 4. 넙다리신경(femoralnerve) 5. 전부넙다리신경(genitofemoralnerve) 6. 폐쇄신경(obturatornerve) 7. 요추 및 천추 연결신경(nervetosacralplexus/fromlumarplexus) 8. 위둔부신경(위볼기신경, superiorglutealnerve) 9. 아래둔부신경(아래볼기신경, inferiorglutealnerve) 10. 좌골신경(sciaticnerve) 11. 뒤쪽넙다리피부신경(posteriorcutaneousnerveofthigh) 12. 음부신경(pudendalnerve)

평소에야 상관 없죠. 우리 누워서 자고 뒹굴고 해도 아무 상관이 없어요. 하지만 여기에 고강도초음파를 쏜다고 생각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하이푸 = 고강도 초음파 집속술


고강도 초음파를 집속해서 (한 점에 모아서) 쏴야 하는데 그 병변 바로 아래에 신경다발이 몰려 있으면 과연 고강도로 쏘기가 쉬울까요?

누워서 하이푸 시술하는 의사선생님들도 저 해부학을 알고 계십니다. 그러기에 저 신경다발들을 다치지 않으려고 아주 주의깊게 시술하실 거에요. 그러자니.. 욕심껏 고강도 에너지를 쏘기는 아마도 어려우실 거라 추측됩니다. 당연히 시간도 많이 걸립니다. 그래서 여러 번의 시술이 반복적으로 필요하고요.

!! 고강도의 에너지로 한 번에 쏘는 것보다 저강도를 반복적으로 쏘는 게 안전하지 않나요 ??

 

. 그럴까요? 고강도가 더 위험한 걸까요? (아니 그럼 우리는 대체 왜 고강도초음파집속술 즉 하이푸를 하려는 것일까요?!#$@...)

여기서 고강도가 왜, 어떻게 고강도인지,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어릴 때 햇빛을 돋보기로 모아 종이 태우는 실험 해봤을 거에요. 그 돋보기의 성능이 하이푸의 강도를 결정합니다. (초음파 집속 원리, 입체적 치료 원리, 렌즈형 트랜스듀서, 소자배열형 집적 방식, 종양부피축소율...등등등... 어려운 물리학 이론 얘기는 죄송하지만 여기서 설명 길게 못합니다.)

그 돋보기가 초음파에너지를 얼마나 작은 초점에다 꽉 모아주느냐. 그것이 하이푸의 강도를 결정합니다.

얼마나 작은 초점으로 꽉

이게 포인트에요. 아주 작은 초점으로 꽉 모아줄수록 고강도가 됩니다. (단위 면적 당 압력)

삶은감자를 으깬다고 생각해볼게요. 주먹으로 내리치면 정말 그냥 으깨지죠. 같은 힘이어도 젓가락으로 찌르면? 구멍만 쏙. 생기겠죠

이게 고강도입니다. 단위 면적 당 압력.

 

내 자궁안의 종양을 태우기 위한 에너지를 작은 초점으로 꽉 모아주면 모아줄수록. 안전합니다. 주변 조직을 다칠 위험이 적어지니까요.

게다가 눕지 않고, 엎드려서 하면, 신경다발과의 안전거리도 확보가 되고요.

그래서 결론은 하이푸 알아보실 때 이것부터 물어보세요


"엎드려서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