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은 겉에서 보기에는 가만히 정지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부에서는 끊임 없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자궁의 안쪽 근육층인 접합층(Junctional zone)이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수축을 하면서자궁내막층을 변형시키는 움직임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자궁 연동운동'이라고 합니다.
"자궁의 연동운동은
정자의 이동, 수정란의 착상, 생리혈의 배출과 같은
자궁 고유의 기능과도 연관이 되어 있으며
자궁의 연동운동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극심한 생리통, 자궁내막증과 자궁선근증과 같은
질환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과 같은 자궁의 병변은 자궁의 연동운동을 방해하여 난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자궁내막층과 접합층을 보존하면서 자궁의 병변을 치료하면 자궁의 연동운동과 같은 자궁 고유의 기능이 복원되어 임신율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궁병변을 치료할 때
자궁내막층과 접합층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동석 I 산부인과 전문의 I 최상산부인과 대표원장 I 성균관의대 석사 및 외래교수
'자궁과 난소, 그것이 알고 싶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부인과는 임신했을 때만 가는 과인가요? (0) | 2019.02.20 |
---|---|
산부인과, 최소한 2년에 한번은 가야한다? (0) | 2018.09.28 |
자궁 외 임신 사례 - 서로 다른 둘이 만나 하나 되기 (0) | 2018.07.02 |
여성에게 자궁이란 (0) | 2018.06.26 |
미레나의 다양한 효과 (0) | 2018.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