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이푸 : 자궁근종·자궁선근증

자궁선근증과 치료방법

많은 분들이 제게 묻습니다.

자궁은 알겠는데 자궁내막은 무엇인가요?

오늘 내막을 밝혀드리겠습니다^^;;

 

자궁내막은 말 그대로 '자궁 안쪽의 막'이란 뜻입니다.

자궁을 고무풍선이라고 생각해보세요.

아주 두꺼운 고무로 된 풍선을요.



풍선 안쪽면을 자궁내막(endometrium),


풍선 안쪽 공간을 자궁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자궁내막은 호르몬의 영향으로 두께가 변합니다.

 

생리직전에 가장 두껍고 생리를 하면서 다 씻겨나가서 양많은 날이 끝나면 종이장 처럼 얇아집니다.



이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죠. 즉 자궁내막은 자궁강 안쪽의 자궁근육층을 얇게 덮고있는 것이 정상입니다.

그런데 이런 자궁내막이 어떤 이유에서 자궁근육층으로 침투해 들어오게 됩니다.

자궁내막에서 가까운 근육층인 기능층(junctional zone)으로 파고 들기도하고 

역류된 생리혈 속에 포함된 자궁내막조직이 자궁의표면인 장막층을 뚫고

자궁근육 바깥층(outer layer)로 파고들어오기도합니다.



뚫고 들어오면 들어오는 거지 그게 무슨 대수냐고 물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궁내막조직은 자궁근육층으로 침투해 들어와도 자궁강 표면에 존재할때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즉 생리주기에 맞춰 두꺼워지고 출혈을 일으키는것입니다.

 

근육층안에서 자궁내막이 팽창하니까 

자궁근육층을 늘리고 찢으면서 심한 통증과 생리통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생리통이야 원래 아픈거니까 진통제 먹으면서 참으면 되지 않냐고 물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반복적으로 손상된 자궁근육층,

특히 junctional zone에 염증반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섬유화되고 그 고유의 기능이 없어집니다.

, 자궁벽이 딱딱해지고 연동운동이 잘 안일어나고 착상장애를 유발해서 난임의 원인이 됩니다.



이처럼 고통스럽고 난임을 유발하는 자궁선근증은 그럼 어떻게 치료할까요?

불행이도 아직까지 근본적으로 치료할 방법이 없습니다.


, 자궁근종보다 많이 어려운 질환입니다.

 

아기를 낳을 생각이 없으면 미레나라는 루프를 사용해서 

최대한 생리통과 같은 증상을 줄여보거나 

임신을 원할 경우 효과는 좋지 않으나 자궁선근증 덩어리를

수술적으로 제거해 보는 것이 거의 유일한 방법이었습니다.

 


그런데 자궁선근증에 대해 하이푸치료는 침습적인 수술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내막조직을 모두 제거하기 힘든 것은 침습적 시술과 매한가지 이지만

복강내 유착이나 자궁의 정상조직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junctional zone을 보존하여 난임을 해결할 실마리를 남길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